백신 종류와 효과의 진실
- 화이자 : 95%의 백신 효과
- 모더나 : 94%의 백신 효과
- 아스트라제네카 : 67%의 백신 효과
- 얀센 : 66%의 백신 효과
지금 위에 보시는 것과 같이 현재 공식적으로 보도된 백신의 종류별 효과인데요. 백신의 효과만 보시고 화이자랑 모더나가 좋은 백신이고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은 안 좋은 백신이라고 생각하기 쉬운데요. 1가지 확인해야 하는 부분이 있는데요. 백신의 효과를 언제 확인했느냐가 중요합니다. 백신의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은 간단히 설명드리면 A 백신을 맞은 인원들 100명 중에 10명이 감염이 됐다고 하면 A 백신은 90%의 백신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건데요. 코로나의 경우 계속 변이 되고 변이가 될 때마다 전파력이나 강도가 점점 강해지고 있는데요. 화이자나 모더나의 경우 아스트라제네카나 얀센보다 먼저 백신을 승인받기도 했고, 화이자와 모더나의 경우 변이 바이러스가 생기기 전에 그리고 코로나 바이러스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지 않을 때 테스트를 했기 때문에 백신의 효과가 90% 이상이 나오게 되는 것이고,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의 경우에는 변이 바이러스도 많이 생기고 코로나 감염자가 많을 때 테스트를 진행하고 효과를 인증받았기 때문에 낮게 표시가 됐는데요. 그렇기에 우리나라에서 많이 맞고 있던 아스트라제네카의 경우 백신의 효과가 더 좋을 거 같다. 다시 확인해야 한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만약 지금 같은 나라 같은 시간대 같은 환경에서 4가지 백신을 모두 같이 테스트를 한다고 하면 백신의 효과는 모두 다르게 될 것입니다.
위에 사진처럼 21년 5월 3일 기준으로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백신 효과가 어느 정도 있는지 보여주는데요. 아스트라제네카가 86%의 백신 효과가 있고, 화이자가 89.7%의 백신 효과가 있는 걸로 사실상 두 백신의 효과 차이는 크지 않다는 걸 볼 수 있겠네요. 다만 아직 1차 접종만 대상으로 한 자료이기에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 거 같네요.
그렇기 때문에 백신의 효과만 보시고 결정하시는 것보다는 참고 정도만 하시는 게 좋다고 생각이 됩니다.
백신의 효과 내용(중증환자 줄여준다)
그리고 백신의 또 다른 좋은 효과는 중증환자 또는 사망자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는데요. 그래서 백신을 맞으면 코로나에 걸리더라도 가볍게 넘어가 해 주는 목적도 있는데요. 이런 효과는 위에 4개의 백신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로 제네카, 얀센 모두 사망이나 중증환자로 갈 위험성을 낮춰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백신의 접종 횟수와 부작용
백신 종류 | 접종횟수 | 접종간격 | 흔한 부작용 (당일~3일) |
긴박한 부작용 (30분 이내) |
치명적 부작용 (4일~28일) |
플랫폼 |
화이자 | 2회 접종 | 3주 간격 | 몸살 등 | 아나필락시스 (알레르기반응) |
X | mRNA백신(핵산백신) |
모더나 | 2회 접종 | 4주 간격 | 몸살 등 | 아나필락시스 (알레르기반응) |
X | mRNA백신(핵산백신) |
아스트로제네카 | 2회 접종 | 약 2개월 간격 | 몸살 등 | X | 혈전증 | 바이러스 벡터 백신 |
얀센 | 1회 접종 | 몸살 등 | X | 혈전증 | 바이러스 벡터 백신 |
접종 횟수 및 접종 간격
먼저 백신의 접종 횟수입니다.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로 제네카 세 종류의 백신은 총 2회 접종을 하고, 얀센의 경우 1회만 접종을 합니다. 2차 접종 시기는 화이자는 3주, 모더나는 4주, 아스트로 제네카는 약 2개월 이후에 2차 접종을 맞게 되며, 흔한 부작용은 4종류의 백신 모두 일어날 수 있습니다.
흔한 부작용
주사를 맞은 부위가 욱신거린다거나, 약간의 어지러움, 몸살기 등 가벼운 증상들이 일어날 수 있고, 긴박한 부작용은 화이자와 모더나에만 해당사항이 있습니다.
긴박한 부작용(아나필락시스)
아나필락시스라는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서 주사를 맞고 30분 이내에 일어나는 반응으로 여러 가지 원인이 있습니다. 벌에 쏘였을 때, 곤충에게 물렸을 때, 체질에 맞지 않는 음식 섭취, 항생제, 각종 약물 등의 의해서 생길 수 있는 알레르기 반응으로 흔하게 나타나는 현상으로는 두드러기, 빈혈, 혈관부종, 숨이 차는 증상, 목이 붓고, 혀 부종, 말하기 힘들거나, 읫 저하 등 여러 증상이 있으며, 증상이 심할 때 응급처치를 놓칠 경우 사망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증상이 나타났을 때 체온을 올릴 수 있는 행동들 상태를 더욱 안 좋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운동이나 활동을 하고 있었다면 중지하고 바로 병원을 가는 것이 좋습니다.
아나필락시스의 응급처치
- 119에 신고를 한다.
- 환자는 평평한 장소에 눕혀준다.(심장으로 가는 혈액이 원활하게 작용하며, 알 우칼 경우 저혈압이 생길 수도 있다)
- 구토 증상이 나타날 경우애는 옆으로 눕혀준다.
- 다리 쪽에 베개나 가방 등을 받쳐 혈액순환을 유지시켜준다.
- 주변에 에피네프린이 있을 경우 주사하고 시간 체크
- 산소가 있으면 마스크로 산소 공급해준다.
심각한 부작용
백신 종류 |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 아나필락시스 | 안면마비 |
화이자 | 거의 없음 | 100만명 당 5명 | 100만명 당 183명 |
모더나 | 거의 없음 | 100만명 당 2.5명 | 100만명 당 197명 |
아스트로제네카 | 100만명 당 1.9명 | 거의 없음 | 거의 없음 |
얀센 | 100만명 당 1.1명 | 거의 없음 | 거의 없음 |
시각 한 부작용으로는 화이자, 모더나를 한 그룹, 아스트로 제네카, 얀센을 한 그룹으로 봐도 될 정도로 부작용이 차이가 나는데요. 화이자, 모더나의 경우 혈전증 증상은 신경안 써도 될 만큼 거의 발병을 안 한다고 합니다. 혈전증은 혈관 속에서 피가 굳어진 덩어리에 의해서 발생하는 질환인데요. 화이자는 혈전증은 거의 신경 안 써도 되지만, 아까 위에서 설명한 아나필락시스를 주의해야 하고, 그 이후에는 안면마비가 올 수도 있는데요. 안면마비가 오는 이유는 바이러스가 신경질을 침투해서 신경을 손상시키면 안면마비가 오거나, 면역 증강제인 수은과 알루미늄으로 인한 부작용일 수도 있습니다. 신경이 약한 분들에게 간혹 나오는 증상이라고 합니다. 이번 코로나 백신이 아니라 독감백신이나 다양한 다른 백신을 맞을 때도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반대로 아스트로 제네카와 얀센의 경우 아나필락시스와 안면마비 두 가지 다 거의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될 만큼 거의 없다고 하며, 대신 혈전증이 생길 수 있는데요. 혈전증에 걸리는 분들이 100만 명당 2명 이내이며 혈관질환을 가지고 계신 분들은 주사를 맞을 때 의사와 상담을 하거나 조심을 해야 하지만, 건강한 사람들은 대부분 괜찮다고 합니다.
이렇게 심각한 부작용도 확인을 했는데요.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로 제네카, 얀센 백신중에 어떤 백신이 더 좋다고 말할 수없을 거 같네요.
플랫폼
- mRNA : 화이자나 모더나 백신은 mRNA방식으로 만들어진 백신인데요. mRNA는 백신이 우리 몽에 들어와서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단백질 또는 단백질 조각을 만드는 방법을 세포에게 가르쳐서 질병에 대한 면역력을 가지게 해 주는데요. 그렇기 때분에 다른 백신들처럼 mRNA백신의 경우 질병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를 이용해서 면역력을 만들어주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질병에 대한 감염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mRNA방식은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보관 온도가 화이자의 경우 영하 70도, 모더나가 영하 20도로 보관 방법이 까다로운 게 특징입니다.
- 아데노 바이러스 : 일종의 감기 바이러스 일종인데 바이러스의 독성을 없애고 유전자 부분만 전달해주는 운반체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냉장온도 정도에서 보관을 할 수 있어 보다 보관하고 사용하는데 좀 더 편합니다.
이렇게 백신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이제 점점 백신을 맞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코로나에 걸리면 탈모에 걸린다는 말에 백신을 맞아도 불안 안 맞아도 불안하다는 생각이 드는 요즘. 조만간 저는 모더나 백신을 접종 맞을 예정인데요. 백신을 맞고 나면 접종 이후 리뷰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N린이 취미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변이바이러스종류와 특징(알파변이, 베타변이, 감마변이, 델타변이) +코로나 델타변이 증상 (0) | 2021.07.16 |
---|---|
코로나 백신(아스트로제네가, 얀센)를 접종 후 증상 및 주의사항! (2) | 2021.07.02 |
운전하는 사람이 알면 좋은 주차 딱지, 주차 단속 피하는 꿀팁! (0) | 2021.06.29 |
지금까지받지 못했던 정부 지원금 최대 900만원까지 확인하고 받기(보조금 24) (2) | 2021.04.30 |
2021 5월의 근로장려금 자격조건 및 신청방법 (2) | 2021.04.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