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린이 취미생활

코로나 변이바이러스종류와 특징(알파변이, 베타변이, 감마변이, 델타변이) +코로나 델타변이 증상

by N린이 2021. 7. 16.
반응형

코로나 바이러스 변이란?

출처 : Photo by Fusion Medical Animation on Unsplash

코로나가 2019년에 최초로 발생이 되고 전염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이가 되어 왔는데요. 코로나의 경우 바이러스형 테이기 때문에 감기처럼 완벽한 치료나 완벽한 백신은 사실상 어렵다고 보이는데요. 그 이유는 감기처럼 감염되는 과정에서 계속 다른 형태로 변이가 될 수 있기 때문인데요. 감기의 경우도 병원에 가게 되면 증상에 따라 처방전에 계속 바뀌듯이 코로나도 꾸전하게 변화되고 있고, 최근 영국과 싱가포르는 모든 방역 규제를 모두 해제한다고 밝혔는데요. 이유인즉슨 독감처럼 생각하겠다는 것입니다. 코로나와 함께 인류는 살아가겠다고 밝혔는데요. 현재 백 신접 종률도 50% 이상이고 코로나를 영원하게 지우지는 못할 거라고 생각하고 독감이나, 수두와 같이 감염률 제로를 만드는 것을 포기했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보고된 내용은 알파형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베타형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감마형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델타형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까지 총 4번에 변이가 나타 났는데요. 하나하나 확인해보겠습니다.

코로나 변이바이러스 종류

알파형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알파형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는 다른 말로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라고 부르는데요.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인체에 침투 시에 바이러스 곁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이용해서 인체 내에 세포 수용체와 결합을 하게 되는데요. 이때 알파형 변이 바이러스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에 변이가 발생되어 기존 코로나 19 바이러스보다 1.5배 높은 전파력을 가지게 되는데요. 기존 코로나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40~70% 높은 걸로 알려져 있고, 치명률은 높지 않다고 합니다.

베타형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베타형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발견된 코로나 바이러스인데요. 베타형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는 면역력이 있어도 재감염이 가능한 변이 바이러스 입니다. 즉, 과거에 코로나에 걸렸다가 회복이 되면서 항체를 가지고 있더라도 재감염이 될 수 있는 변이 바이러스로 20~30대의 젊은 층에도 감염력이 높다고 합니다.

감마형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감마형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는 올해 1월 일본에서 발견된 변이 바이러스입니다. 브라질에서 일본으로 입국한 사람에게 최초 발견되어 브라질 변이라고도 불리는데요. 감마형 변이 바이러스의 경우 임산부 또는 중환자의 사망률이 높은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감마형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도 면역력이 있어도 재감염이 가능한 코로나 바이러스입니다.

델타형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델타형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는 최근에 우리나라에 들어오면서 4차 대유행을 가져온 바이러스인데요. 2020년 10 워에 인도에서 발생한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로 '인도 변이' 또는 '델타 변이 바이러스'로 최종 명명되었습니다. 델타 변이 바이러스는 알파형 변이 바이러스보다 약 60% 정도 전염력이 더 강한 게 특징이고. 영국 연구에 따르면 중장년층보다 젊은 층이 감염될 위험이 2.5배나 더 높다고 합니다.

델타 변이의 경우 세계 보건기구(WHO)와 미국 질병 통제예방센터(CDC) 두 곳에서 '우려종'으로 지정을 했는데요. 큰 특징으로는 빠른 전파력, 다른 변이보다 높은 중증률이고, 아직까지 치사율은 밝혀진 바가 없습니다. 그리고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경우 백신도 무용지물로 만들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데요. 그렇지만 백신을 맞은 경우 중증으로 가는 것을 좀 더 막아줄 거라고 얘기가 되고 있습니다.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경우 기존 코로나 바이러스(알파, 베타, 감마)의 경우 증상이 후각, 미각, 인후통이었는데 델타형 변이 코로나 바이러스의 경우 콧물이 나오는 증상과 미각과 후각보다는 청각과 시각에 더욱 영향을 많이 준다고 합니다.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경우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보다 증상이 더 심하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