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투자7

사회초년생이 적금 들기전에 먼저 해야 할 일! 안녕하세요~! N린이 입니다. 여러분은 혹시 첫 월급 어떻게 쓰셨나요? 저는 첫 월급을 어디다 썼는지도 모르게 금방 써버렸어요. 그래도 기억에 남는 게 있다면.... 부모님 밥사드리기?, 내가 가지고 싶었던 '에어 팟' 사기? 이 정도였는데 사회초년생은 적금을 언제쯤부터 들 거 같나요? 어떤 분은 첫 월급부터 바로 저금하는 분도 있을 거고, 또 어떤 분은 1년이 지나고 2년, 3년이 지난 지금도 적금은커녕 오히려 신용카드까지 만들면서 아직 돈 모으는 법을 모르는 분도 있을 거 같은데요. 먼저 적금 만들기 전에 해야 할 일 첫 번째. 고정 금액 파악하기! 고정적으로 나가는 월세 핸드폰비 교통비 등 어쩔 수 없이 나가는 돈을 파악합니다. 두 번째. 목표금액 정하기 목표가 없다면 중간에 여러 유혹에 빠지기 쉽.. 2021. 2. 27.
예금?? 적금?? 차이는 뭐야? 보통 은행에 가면 많이들 하는 상품 바로 적금!! 하지만 은행에는 적금 말고도 다양한 저축상품과 투자상품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오늘 알아볼 것은 적금과 예금입니다. 생각보다 적금과 예금의 차이를 모르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오늘 한번 자세히 풀어 보겠습니다. 적금 : 매월 납입을 하여 만기 시까지 유지 후 이자를 받는 금융 상품입니다. 적금은 달마다 적립을 하는 방식이고, 매월 납입액이 일정한 정기적금상품과 반대로 상황에 맞춰 자유롭게 납입하는 자유적금 상품이 있습니다. 사회초년생뿐만 아니라, 중 장년층 분들도 많이 이용하고 있는 상품이고 매월 급여 등의 수입으로 목돈을 마련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현재 미 연준 금리 인하로 시중 은행의 이율 또한 떨어지는 추세여서 1% 에서 최대 2%까지 받고 있습니다. .. 2020. 10. 9.
경제적 자유를 향해서(FIRE족 선언!) FIRE족은 (Financial Independence Retire Early)의 줄임말. '경제적 자립을 바탕으로 일찍 은퇴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경제적 자유를 얻기 위해서는 수익의 파이프라인을 만드는 것으로, 여러 가지 일을 하면서 보다 많은 곳에서 수익을 내야 한다고 생각이 됩니다. 그래서 아직 사회초년생인 제가 경제적 자유를 위해 시작한 일입니다. 첫 번째 N 잡은 내 시간을 이용한 근로소득을 이용해 자본금을 모으기였습니다. 엄~청 뛰어난 기술이나 아이디어로 부자가 되지 않는 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근로소득을 이용해 돈을 불리고, 적금과 투자를 이용해 그 돈을 불려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N 잡은 주식투자입니다. 세계의 부자들을 봐보면 3가지의 종류로 나누어집니다. 첫 번째는 부모님 잘 만나거나.. 2020. 10. 7.
반응형